본문 바로가기
정보/관심있는 정보 정리

경영학 - 경영 전략분석 방법론 8가지

by 김쓰 2024. 7. 8.
반응형

글, 사진 / 김쓰

 

경영학에서 경영 전략분석 방법론으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8가지 방법론들을 간략하게 정리해보았다.

 

(1) 마이클 포터의 5 Forces Model

▶ 외부 환경을 분석하는 기법으로 산업의 구조를 분석한다

▶ 산업의 경쟁 강도와 수익성이 기존 경쟁자들 간의 경쟁으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요인들도 작용한다고 보았다

▶ 5가지 요인 : 경쟁자, 공급자, 구매자, 대체제, 신규진입자

마이클 포터의 5 Forces Model에서는 공급자와 구매자의 협상력, 대체제와 신규진입자의 위협 등이 수익성에 영향을 끼친다고 보았다

 

(2) 마이클 포터의 가치사슬 모델

▶ 가치사슬이란 기업에서 자신의 경쟁적 지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형이다

▶ 가치사슬 분석에서는 본원적 활동과 지원 활동을 구분하는데, 이는 가치 창출에 관련된 활동을 분석하여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본원적 활동, 간접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지원 활동으로 나눈것이다

▶ 본원적 활동 : 물류투입, 생산운영, 물류산출, 마케팅과 판매, 서비스

▶ 지원 활동 : 기업전반관리, 인적자원관리, 연구개발, 구매조달

 

(3) 알버트 험프리의 SWOT 분석

▶ SWOT란 기업의 내부환경과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시장의 기회에 대응하고 위협에 대비하는 것이다

▶ 기업 내부환경의 강점과 약점을 뜻하는 Strength, Weakness, 기업 외부환경의 기회와 위협을 뜻하는 Opportunity, Threaat로 나뉜다

▶ SWOT 분석에 의한 전략으로 SO전략(강점-기회), ST전략(강점-위협), WO전략(약점-기회), WT전략(약점-위협) 등이 있다

▶ 방법론적으로 간결하여 일반화된 분석기법이다

 

(4) 마이클 포터의 본원적 경쟁전략

▶ 마이클 포터의 가치사슬 모델에서 내 외부의 환경을 분석 후, 경쟁의 범위와 경쟁 우위 요소들을 조합하여 경쟁할 수 있는 전략 유형을 제시하는 이론이다

경쟁범위 ▼ / 경쟁우위▶ 원가 차별화
전체 시장 원가 우위 차별화
좁은 영역 원가 집중화 차별적 집중화

▶ 원가 우위 전략 : 원가절감으로 원가상 우위를 달성하여 경쟁하는 것을 목표

▶ 차별화 전략 : 고객이 원하는 바를 충족시켜 제품과 서비스를 경쟁 기업과 차별화하는 전략

▶ 집중화 전략 : 특정 지역이나 특정 고객을 대상으로 경쟁우위를 점하는 전략

 

(5) BCG Matrix

▶ 사업 포트폴리오 분석 기법으로, 상대적 시장점유율과 시장성장율을 기반으로 2X2 매트릭스를 구성하여 대응방안을 분석한 것이다

▶ 스타 사업(시장성장률 높음, 시장점유율 높음) : 수익성과 성장성이 크므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

▶ 캐시카우 사업(시장성장률 낮음, 시장점유율 높음) : 기업의 현금창출원이 되는 사업으로 시장성장률이 낮아 투자금액은 유지 및 보수 차원으로 유지한다

▶ 물음표 사업(시장성장률 높음, 시장점유율 낮음) : 기업의 행동에 따라 차후 스타 사업 또는 도그 사업으로 전락할 수도 있는 사업

▶ 도그 사업(시장성장률 낮음, 시장점유율 낮음) : 상황에 따라 철수나 매각을 검토해야하는 사업

▶ 판단의 기준이 시장성장률과 시장점유율 뿐이어서 단순화의 오류에 빠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6) GE/Mckinsey Matrix

▶ BCG 매트릭스를 수정 보완하여 사업 포트폴리오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 구분 기준은 내부 사업단위의 강점과 산업 자체의 매력도이며, 신호등 전략으로도 불리운다

산업매력도 높음 유지, 방어 성장을 위한 투자 선택적 성장투자
산업매력도 중간 선택적 성장투자 선택적 수익관리 제한적 확장, 추수
산업매력도 낮음 유지, 초점 조정 수익성 경영 전환, 철수
  사업강점 높음 사업강점 중간 사업강점 낮음

 

▶ 사업강점과 시작매력도를 높음-중간-낮음으로 분류하여 9개의 전략으로 수립되는데, 크게 보면 청, 황, 적색의 3가지 전략으로 구분된다

 

(7) 엔소프의 제품-시장 매트릭스

▶ 마케팅적 측면에서 매출과 이익을 높일 수 있는 방법들을 시장의 측면과 제품의 측면에서 분석한 모델이다

▶ 분석기준은 신제품, 기존제품, 기존시장, 신시장 4가지이다

  기존제품 신제품
기존시장 시장 침투 전략 제품 개발 전략
신시장 시장 개발 전략 다각화 전략

▶ 시장 침투 전략 : 기존제품의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선호도나 사용 빈도를 높이는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 시장 개발 전략 : 새로운 타킷을 모색하는 방법으로 지역적 확장이나 다른 연령층을 공략하는 방법이다

▶ 제품 개발 전략 : 새로운 제품으로 기존시장의 다른 수요를 충족시키는 방법이다

▶ 다각화 전략 : 사업자체를 다각화하는 방법이다

 

(8) 시어도어 레빗의 PLC 전략 - Product Life Cycle

▶ 제품의 수명주기를 분석하여 각 단계에 적합한 핵심 경쟁요인을 판단하는 것이다

▶ 도입기 - 성장기 - 성숙기- 쇠퇴기로 구분하며 각 단계에 적합한 가격, 개발, 촉진, 유통 전략을 믹스함으로써 기업의 매출과 이익을 증대시키는 방법이다

▶ 마케팅 목적에 있어서 도입기에 있어서는 제품인지와 비용창출, 성장기에는 시장점유율의 극대화, 성숙기에는 이익의 극대화와 시장점유율 방어, 쇠퇴기에는 비용절감과 상표가치증진 등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각 시기별로 다른 전략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다양하게 특징, 마케팅 목적, 마케팅 전략이 차이가 있지만 조금만 생각해보면 눈에 보이는 것들이라 생략한다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