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관심있는 정보 정리

직장내 스트레스로 인한 번아웃 증후군

by 김쓰 2024. 1. 6.
반응형

글, 사진 / 김쓰

 

번아웃 증후군은 미국의 심리학자인 프로이 덴버거가 1970년대 정신건강 센터에서 직장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적으로 문제를 겪는 사람들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명칭이다. 그러던 것이 2019년 세계 보건기구인 WHO에 의해 일종의 정신적 증상으로 정의하게 되었는데, 질병은 아니지만 건강에 해로운 증상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번아웃을 해결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 병으로 정의되지 않아서 번아웃을 소홀하게 관리하게 되면 정신적인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Parveen K. Garg 박사 연구팀이 25년동안 11,000여명의 연구 참가자의 심방세동 변화를 추적 관찰한 결과, 번아웃 증후군에 걸린 실험 참가자가 심방세동에 걸릴 위험이 번아웃을 겪지 않는 참가자에 비해 20% 가량 높은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 연구는 유럽 예방 심장학 저널에 발표된 것으로 만성 스트레스와 피로가 질병 발병의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 심방세동 : 심방의 수축이 소실되어 불규칙하게 수축하는 상태로 부정맥의 일종이다. 

 

부정맥을 예방하는 방법 

  • 운동 : 매일 30분 이상의 운동을 할 필요가 있다. 
  • 식이 조절 : 잡곡과 야채 섭취, 카페인 피하기, 육류는 적당량 섭취하기, 버터와 마가린 대신 올리브오일로 대체하기
  • 생활습관 : 금연, 적정 체중 유지, 술 줄이기 등

더불어 부정맥 증상이 의심될때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서맥성 부정맥의 경우 1분에 60회 미만으로 정상적인 맥박 수보다 적게 뛰는 것을 말하는데 잦은 피로감이나 어지럼증, 실신 등의 증상을 보여줄 수 있다. 주로 70대 이상에게 나타나므로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하겠다. 빈맥성 부정맥은 1분에 100회 이상 심장이 뛰는 것으로 정상적인 맥박 수보다 많이 뛰는 것을 말한다. 가슴 두근거림이나 답답함,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장질환 및 심근경색 환자 등에게서 발생한다. 

 

번아웃 증후군은 어떠한 증상을 나타낼까?

 

번아웃 증후군은 만성 스트레스나 피로 등의 증상과 구분하기 어렵다. 다만, 뚜렷한 특징으로 손꼽는 것은 직장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 외에 어떤 증상을 보여줄까?

  • 신체적으로 무기력함, 체력 저하 등을 보여주는데 평소보다 자주 아프다면 번아웃 증후군일 가능성이 크다. 식욕, 수면 패턴의 변화, 잦은 두통과 근육통도 이러한 증상의 일환이다. 
  • 정신적으로는 무력감, 절망, 의욕 저하 등과 함께 평소보다 쉽게 화를 낼 수 있다. 더불어 즐거웠던 일들이 더 이상 행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번아웃을 스스로 인식하기란 쉽지 않지만 자신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다면 인식할 수 있다. 업무량이 과다하지만 이것을 스스로 통제 불가능하거나 일에 대한 보상이 없거나 직장에 소속감을 가질 수 없을때 위와 같은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느낀다면 번아웃을 의심해볼 수 있다. 

 

번아웃을 극복하기 위해서 어떻게 하면 좋을까?

  • 본인의 기분을 챙기기 위한 행동을 한다. 
  • 내면의 활력을 위해 자신이 좋아하는 곳을 찾아가본다. 이때 지나치게 몸을 혹사하는 곳이라면 오히려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니 최대한 몸도 마음도 편한 곳을 찾아가보는 것이 중요하다. 
  • 무리가 가지 않는 가벼운 운동을 실천해본다. 
  •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노력해본다. 

 

번아웃 증후군에서 벗어나려면 주위의 환경이 바뀌고 직장 내의 상황이 긍정적으로 변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힘이 드는게 사사실이다. 그런만큼 본인 스스로 자신을 다독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다만, 믿을 수 있는 가족이나 지인에게 자신이 번아웃 증후군에 빠졌다면 알려서 도움을 청하는 것은 도움이 될 것이다. 만약 주위에 번아웃 증후군을 앓는 사람이 걱정이 되어서 찾아본 관리자급 인물이라면 열린 마음으로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해보는 것은 어떨까?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 끝.

반응형

댓글